***** ? 과 !/수미산이야기

[스크랩] 망심(妄心)을 다스리는 열 가지 무심공부

GraU 2014. 10. 4. 07:34

 

 

 

 

          

 

                            

  

망심(妄心)을 다스리는 열 가지 무심공부


1) 깨달아 살피기.

참마음은 망심이 없다는 것이지, 미묘한 작용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여러 스님들이 무심공부에 대하여 말씀한 것이 여러 가지로 저마다 다
르니, 지금 그 대략적인 내용을 총괄하여 간략히 열 가지로 밝히겠다.


첫째는 깨달아 살피는 것(覺察)이다. 이는 공부할 때에 항상 마음을 평상히 하
여 생각을 끊고 일어나는 생각을 막는 것이다. 즉, 한 생각이 겨우 일어나면 곧
그것을 알아채어 부수어(破) 버린다. 망념이 깨달음(알아차림)으로 부서지면
다음 생각이 일어나지 않으니, 깨달았다고 아는 그것마저도 버려야 한다. 망념
과 깨달음을 함께 잊어버리면 그것을 무심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조사님이 말
씀하시기를 "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다만 그것을 알아채서 깨
닫는 일이 더디다는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 또 게송(신심명)에 " 진심을 찾으
려 애쓰지 말고, 오직 망령된 생각만 쉬라" 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깨달아
살피어 망심을 쉬는 공부이다.



2) 쉬는 공부.

둘째는 쉬는 것(休歇)이다. 이는 공부할 때에 선도 악도 생각하지 않고, 마음
이 일어나면 곧 쉬고, 인연을 만나거든 바로 쉬는 것이다. 옛사람(석상경제) 말
씀하시를, "한 가닥 흰 비단인 듯, 차가운 땅에 서리 내린 듯이 싸늘하고, 옛사
당 안의 향로인 듯 괴괴하여 분별을 잊고 바보와 같고, 말뚝과 같이 되어야, 비
로소 약간이나마 참마음과 합일 될 것이다" 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망심을
쉬는 공부이다.



3) 마음을 없애고 대상을 둔다.

셋째는 마음을 없애고 대상(경계)을 두는 것이다. 이는 공부 할 때에 모든 망념
을 모두 쉬어 바깥경계를 돌아보지 않고, 다만 스스로 마음을 쉬는 것이니, 망
심만 쉬면 경계가 있은들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 이것을 옛사람(임제)이 이른
바, "사람만 빼앗고 경계는 빼앗지 않는다."는 법문이다. 그러므로 어떤 이
는 "여기 꽃다운 풀이 있는데, 온 성안에 친구가 없다"고 하였다.  


또 방거사는 "다만 스스로 만물에 무심하면, 만물이 항상 나를 둘러싸고 있은
들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 라고 하였다. 이것이 곧 마음을 없애고 경계(대상)
를 두어 망심을 쉬는 공부이다.



4) 대상을 없애고 마음을 둔다.

넷째는 대상을 없애고 마음은 그대로 두는 것이다. 이는 공부 할 때에 안팎의
모든 대상을 비워 공적하다고 관(觀)하고, 다만 마음만 두어 외로이 드러나 홀
로 서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사람이 말씀하시기를, "모든 법과 짝하지 않고 모든 대상과 상대하
지 않는다." 고 하였다. 만약 마음이 경계(대상)에 집착하면 그 마음은 곧 망심
이다. 그러나 지금 이미 대상이 없어졌는데 무슨 망심이 있겠는가?

 

참마음이
홀로 비추어 도에 장애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옛사람(임제)이 이른바 "경
계를 빼앗고 사람은 빼앗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이는 말씀하시
기를 "동산에 꽃은 이미 다 떨어졌는데 수레와 말은 아직 붐빈다."고 하였다. 

 

 
또 "삼천 검객(三千劍客)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홀로 장주(莊周)가 태평을 이
룩했네!" 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대상(경계)을 없애고 마음을 두어 망심을 쉬
는 공부이다.  


5) 마음과 대상을 함께 없앤다.

다섯째는 마음과 대상을 함께 없애는 것이다. 이는 공부 할 때에 먼저 바깥 경
계(대상)를 비우고, 다음으로 안의 마음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이미 안팍의 마
음과 대상이 함께 비었는데, 결국 망심이 어디서 일어나겠는가?  


그러므로 관계(灌溪)스님도, "시방에 벽도 없고, 사면에 문도 없어 옷을 벗은
듯 물을 뿌린 듯, 환하게 드러나서 맑고 맑도다." 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임
제)조사의 "사람과 경계를 함께 빼앗는" 법문이다. 그러므로 어떤 이는 "구름
이 흩어지고 물은 흘러가니, 온 누리가 고요히 비었구나."고 말하였다. 또한 "
사람과 소를 모두 볼 수 없으니, 바로 달 밝은 때로다."라고 말하였다. 이것이
바로 마음과 경계를 함께 없애어 마음을 쉬는 공부다.  



6) 마음도 두고 대상(경계)도 둔다.

여섯째는 마음도 두고 대상도 두는 것이다. 공부를 할 때에 마음은 마음의 제자
리에 머무르고, 대상은 대상의 제자리에 머물러, 때로는 마음과 대상이 서로 맞
서더라도 마음이 대상을 취하지 않고 대상은 마음에 이르지 않아, 저마다 서로
부딪치지 않으면, 저절로 망념이 생기지 않아 도에 장애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법화경에 이르기를, "이 법이 법의 자리에 머물기 때문에 세간의 모
든 상(相)들도 항상 머문다." 고 하였다. 이것은 곧 (임제)조사의 "사람과 경계
를 모두 빼앗지 않는" 법문이다. 그러므로 한 말씀이 "한조각 달이 바다에서 나
오니 몇 집에서 사람이 누각에 오르는가?"라 하였다. 또한 " 산꽃 천만 송이
에 노는 사람 돌아갈 줄 모른다." 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경계도 두고 마음도
두어 망심을 없애는 공부이다.



7) 안팎이 하나의 체(體)가 되도록 한다.

일곱째는 안팎을 하나의 본체로 삼는 것이다. 공부할 때에 산하대지(山河大地)
와 해와 달 별,안의 몸과 바깥세상 등 모든 법이 모두 참마음의 본체이므로, 고
요히 비고 밝기가 털끝  만큼도 다름이 없어, 모래알 수만큼이나 많은 대천세계
를 한 덩어리로 두드려 만드는 것이니, 다시 어디서 망심이 나오겠는가? 그러
므로 승조법사도, "천지가 나와 더불어 한 뿌리요, 만물이 나와 더불어 한 몸이
다." 라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안팎을 하나의 본체로 삼아 망심을 없애는 공부
이다.



8) 안팎을 모두 작용으로 본다.

여덟째는 안팎을 모두 작용으로 삼는 것이다. 이는 공부할 때에 일체 안팎의 몸
과 마음, 세계의 모든 법 그리고 일체의 행동과 쓰고 베푸는 일들이 모두 참마
음의 미묘한 작용이라고 보는 것이다. 어떤 생각이든 일어나기만 하면 그것은
참마음의 미묘한 작용이 앞에 나타난 것이니, 이미 모두가 다 참마음의 미묘한
작용일진대, 망심이 어느 곳에 발붙일 수가 있겠는가? 그러므로 영가 스님은
말씀하시기를, "무명의 참성품(實性)이 곧 불성(佛性)이며, 허깨비 같은 공한
몸이 바로 법신(法身)이다."라고 하였다.

 

 

또 지공(誌公)스님의 <十二時歌>에 
는 "새벽 인시(寅時)라네, 미치광이 근기 안에 도인의 몸이 숨어 있구나. 앉거
나 눕거나 그것이 원래 도인 줄 모르고, 다만 허덕이며 고생만 한다." 고 하였
다. 이것이 바로 안팎을 모두 작용으로 보아 망심을 쉬는 공부이다.  



9) 본체가 작용이다.

아홉째는 본체가 곧 작용임을 보는 것이다. 공부할 때에 비록 본체에 가만히 계
합하여 한맛으로 비어 고요하게 있으면, 그 가운데에 안으로는 신령한 밝음이
숨어 있으니, 그것이 본체가 곧 작용인 것이다. 

 

그러므로 영가현각스님은 " 또
렷하면서도 고요한 것(惺惺寂寂)은 옳지만, 또렷또렷하나 망상이 죽 끓듯 하면
(惺惺妄想) 그른 것이고, 고요하면서도 또렷한 것(寂寂惺惺)은 옳지만, 고요하
나 멍청한 것(寂寂無記)은 그른 것이다"라고 하였다. 고요한 가운데 흐리멍텅
한 것을 용납치 않았고, 또렷또렷한 가운데에 어지러운 생각을 쓰지 않는데, 망
상이 어떻게 생기겠는가? 이것이 바로 본체가 곧 작용인 것으로써 망심을 없애
는 공부인 것이다.



10) 본체와 작용을 초월한다.

열번째는 본체와 작용을 초월하는 것이다. 이는 공부할 때에 안팎을 나누지 않
고, 동서남북도 가리지 않고, 사방팔면(四方八面)을 다만 하나의 큰 해탈문으
로 만들어 뚜렷이 본체와 작용을 나누지 않는다.

 

그리하여 털끝만큼도 망상으 로 샐 틈도 없이 온몸을 부수어 한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니, 망심이 어디서 일
어날 것인가? 옛사람도 "온몸에 꿰맨 자리가 없고 위아래가 온통 둥글다."고 말
했다. 이것이 곧 본체와 작용을 초월함으로서 망심을 없애는 공부이다.
                                                                                                           

 

 

 

 

 

극락정토로 가는 길

http://blog.daum.net/mjpark39/16404758

 

 

                            

 

 

 

 

            

출처 : 극락정토로 가는 길( 白道 )
글쓴이 : 白道 박만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