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제 : Consent/앎으로부터의 출발:마비에 대한 알아차림 7

0 . 사고의 전제 : '시작하기'를 위한 동의

근본적인, 너무나도 근본적인 CONSENT ! 0. 앎으로부터의 출발 ? START (출발하기! STARTING) - 앎, 안다는 것 자체에 대한 탐구에서 출발 - 나(我, 자기동일성의 구축으로서)와 내가 알고 있는 것(我所, 단절-고정-구체화)에 대한 인지 관조 - 궁극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의 한계, 앎을 전달하는 매체의..

디자인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우리가 우리의 뇌를 사용하여 ; 생각하는 것에는 어떠한 구분이 있을 수 있는가 사고한다는 것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는가? 예를 들어 과학적으로 사고한다는 것? 디자인적으로 사고한다는 것? 디자인한다는 것은 왜 과학적 메커니즘으로 정리되지 못했는가? cf. 20세기 중후반(60~..

+ '알아차림' : 용어의 원전 (cf. 불교, 위빠사나)

제목 :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1플러즌 플러스 발행일 : 2001 출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제분류 : 교육학술 > 종교 > 불교 언어 : 한국어 저자명 임승택 학술지명 보조사상 권호사항 Vol.16 No.1 [2001] 발행처 보조사상연구원 발행처 URL http://www.bojosasang.org 자료유형 학술저..

+ Sati : 알아차림, 마음지킴, 마음챙김

출처 : http://cafe.daum.net/okryunam 사띠란? 7,8 - 알아차린다는 것은 대상에 마음을 기울여서(sati) 마음이 알게 하는 것 번호 : 113 글쓴이 : 산빛노을(원광) < 알아차리는 방법 > 바라지 말고, 얻으려고 하지 말고, 이루려고 하지 말고 알아차린다. 없애려고 하지 말고, 미워하지 말고, 화를 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