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무생방편문 : http://blog.daum.net/1024511/3926175
돌아다니는 글에 출처가 명확치 않음.
전문에 해당하는지도 알수 없슴.
북종계통의 선종 강요서(講要書) 가운데 하나로서 수계작법에 대해 설명한 저술이다. 달리 대승오방편(大乘五方便)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기신론(起信論)』에 의해서 불체(佛體)를 설명하고, 『유마경(維摩經)』에 의해서 지혜를 설명하며, 『법화경(法華經)』에 의해서 부사의법(不思議法)을 설명하고, 『사익경(思益經)』에 의해서 정성(正性)을 설명하며, 『화엄경(華嚴經)』에 의해서 무이(無異)를 설명한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북종의 대의를 〔번뇌를 여의고 청정을 보며 방편으로 모든 경전을 사용한다(拂塵看淨 方便通經)〕는 의미를 엿볼 수가 있다.
大乘無生方便門
第一 總彰 佛體
第二 開 智慧門
第三 顯示 不思議法
第四 明 諸法正性
第五 自然無解脫道
各各胡合掌
當敎令 發 四弘誓願
衆生無邊誓願度
煩惱無盡誓願斷
法門無量誓願學
無上佛道誓願證
次請十方諸佛爲和尙等
次請三世諸佛菩薩等
次敎受三歸
次問五能
一者 汝從今日 乃至菩提能捨一切惡知識不 (能)
二者 親近善知識不 (能)
三能 坐持禁戒 乃至 命終不犯戒不 (能)
四能 讀誦大乘經 問甚深義不 (能)
五能 見苦衆生 隨力 能救護不 (能)
첫째, 불체(佛體)를 총체적으로 드러낸다. 둘째, 지혜의 문을 연다. 셋째, 부사의법을 현시한다. 넷째, 제법의 정성(正性)을 설명한다. 다섯째, 자연의 걸림없는 해탈도를 설명한다.
각각 호궤합장을 하여라. 이제 사홍서원을 발하도록 가르쳐 주겠다. 중생이 가없지만 맹세코 건지기를 원합니다. 번뇌가 끝없지만 맹세코 끊기를 원합니다. 법문이 한량없지만 맹세코 배우기를 원합니다. 위없는 불도를 맹세코 깨닫기 원합니다.
다음으로 시방의 제불을 청하여 화상 등으로 모신다.
다음으로 삼세의 제불보살 등을 청한다.
다음으로 삼귀의계 받는 것을 가르친다.
다음으로 다섯 가지를 받아지닐 수 있는지에 대하여 그 여부를 묻는다.
첫째는 “그대들은 오늘부터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일체의 악지식을 버리겠느냐.”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둘째는 “선지식을 가까이 하겠느냐.”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셋째는 “앉아서 받은 금계(禁戒)를 목숨이 다할 때까지 파계하지 않겠느냐.”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넷째는 “대승경전을 독송하고 매우 깊은 뜻을 물어 배우겠느냐.”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다섯째는 “고통받는 중생을 보면 능력이 닿는 데까지 구호하겠느냐.”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次 各稱已 名懺悔罪 言過去未來及現在 身口意業 十惡罪
我今至心盡懺悔 願罪除滅永不起 五逆罪 障重罪 (准前)
譬如 明珠沒濁水中 以珠力 故 水卽澄 淸佛性威德 亦復如是 煩惱濁水 皆得淸淨
汝等 懺悔竟 三業淸淨 如 淨琉璃內外明徹
堪受 淨戒 菩薩戒 是 持心戒 以 佛性 爲 戒
性心 瞥起 卽違佛性 是 破 菩薩戒
護持心 不起 卽順佛性 是 持 菩薩戒 (三說)
다음으로 각각 이미 죄를 참회하는 명목을 일컫고 나서는 과거와 미래와 현재에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지은 열 가지 악업의 죄를 뉘우친다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는 이제 지극한 마음을 다하여 참회합니다. 원컨대 죄를 멸하여 영원히 오역죄(五逆罪)와 바라이죄[障重罪]1를 일으키지 않겠습니다.” (앞의 순서에 따른다.) 비유하면 밝은 구슬이 흐린 물 속에 빠지더라도 그 밝은 구슬의 힘으로 인하여 흐린 물이 맑아지는 것과 같다. 청정한 불성의 위덕(威德)도 또한 그와 마찬가지여서 번뇌의 흐린 물이 모두 청정해지게 된다.
그대들은 참회를 마쳤으니 삼업이 이미 청정해졌다. 마치 청정한 유리는 안과 밖이 명철하듯이 청정계와 보살계를 받아지녀라. 이것이 마음으로 계를 받아지니는 것[持心戒]이다. 이것은 불성으로 계를 삼은 것이다. 때문에 불성이라는 집착의 마음이 잠깐만 일어나더라도 그것은 곧 불성을 어기는 것이 된다. 곧 보살계를 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를 지닌다는 마음마저도 일으키지 않아야 참으로 불성을 따르는 것이다. 이것이 곧 진정한 보살계이다. (세 번 설한다.)
次 各令 結跏趺坐 同佛子心 湛然不動 是沒言淨
佛子 諸佛如來 有 入道大方便
一念淨心 頓超佛地 和擊木 一時念佛 和言
一切相總不得取쫤 以金剛經云 凡所有相 皆是虛妄
看心 若淨 名 淨心地 莫卷縮身心 舒展身心 放曠遠看 平等盡虛空看
和問言 見何物 子云 一物不見
和看 淨 細細看 卽 用 淨心眼 無邊 無涯 除遠看
和言問 無障看
和問 見何物 答 一物不見
和 向前遠看 向後遠看 四維上下 一時平等看 盡虛空看 長用淨心眼看 莫間斷亦不限多少看
다음으로 각각 결가부좌하게 하여 모두 계를 받는 불자들의 마음을 담연하게 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는데 이것을 ‘정(淨)’이라 이름한다. 불자들이여, 제불여래에게는 깨달음에 들어가는 대방편이 있다.
그것은 일념이 청정심이 되면 문득 불지(佛地)를 초탈하는 것이다. 모두 동시에 나무를 두드리면서 한목소리로 염불을 하여라. 일체의 상은 모두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금강경에서는 “무릇 존재하는 모든 형상은 다 허망한 것이다.”고 말하였다. 그리하여 만약 마음을 청정하게 보게 되면 그것을 ‘정심지(淨心地)’라 이름하는 것이다. 몸과 마음을 움츠리지 말라. 몸과 마음을 펼쳐라. 그리하여 멀리 드높게 모든 허공계를 보아라. 그리고 모두에게 묻는다.
“그래, 무엇이 보이는가?”
그대들은 이구동성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정(淨)을 보는데 아주 세세하게 보아야 한다. 청정한 마음의 눈[淨心眼]으로 가없고 끝없이 먼 허공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는 모두에게 묻는다.
“걸림없이 보는가? 그리고 무엇이 보이는가?”
그대들은 다음과 같이 답해 말한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대들은 모두 앞을 향해 멀리 보아라. 그리고 뒤를 향해 멀리 보아라. 그리고 사방과 상하를 일시에 평등하게 보아라. 그리고 모든 허공을 보아라. 그리고 오랫동안 청정한 마음의 눈[淨心眼]으로 보아라. 그리고 잠시도 쉬지 말고, 또한 많고 적음의 한계도 두지 말고 보아라.” 2
使得者然身心調用 無障
和言 三六是何 子云 是佛身心得離念
不見心 心如心得解脫
不見身 色如身解脫
如是長時無斷用(入言)
虛空無一物 淸淨無有相 常令不間斷 從此永離障
眼根淸淨 眼根離障
耳根淸淨 耳離根障 如是 乃至 六根淸淨 六根離障 一切無是卽解脫
不見六根相 淸淨 無有相 常不間斷 卽是佛 是沒 是佛
佛心淸淨 離有 離無 身心不起 常守眞心 是沒 是眞如
心不起 心眞如 色不起 色眞如
心眞如 故 心解脫
色眞如 故 色解脫
心色俱離 卽 無一物 是 大菩提樹
이렇게 하여 수계자들로 하여금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작용하여[調用] 걸림이 없게끔 해야 한다. 그리고는 모두에게 묻는다.
“18가지란 무엇인가?”
그대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18가지란 부처님의 몸과 마음으로써 망념을 멀리 떠난 것입니다.”
마음이 있다고 보지 않으니 마음이 청정심과 같아서 해탈을 얻습니다. 몸이 있다고 보지 않으니 색이 몸과 같아 해탈을 얻습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오랫동안 끊임없이 관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허공에는 아무 것도 없다. 청정하여 상(相)이 없다. 그러면서도 항상 끊어지거나 쉼이 없다. 이로부터 영원히 장애를 떠난다. 곧 안근(眼根)이 청정하여 눈이 장애를 떠난다.
이근(耳根)이 청정하여 귀가 장애를 떠난다. 이와 같이 내지 육근(六根)이 청정하여 여섯 감각기관이 장애를 떠나 일체에 걸림이 없는 것이 곧 해탈이다. 그리하여 육근의 상(相)을 보지 않게 되면 청정하여 더 이상 상(相)이 없어 항상 끊어지거나 쉼이 없으니 이것이 곧 불(佛)이다.
이 불(佛)은 불심이 청정하여 유(有)를 떠나고 무(無)를 떠나 몸과 마음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항상 진심(眞心)을 지킨다. 이것이 진여(眞如)이다. 그리하여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심진여(心眞如)이고, 색(色)이 일어나지 않는 색진여(色眞如)이다. 심진여이기 때문에 심해탈(心解脫)이고, 색진여이기 색해탈(色解脫)이다. 그리하여 심(心)과 색(色)을 모두 여의었기 때문에 아무 것도 없다[무일물(無一物)]. 이것이 곧 대보리수이다.
佛 是 西國梵語 此地往名爲 覺
所言 覺쫤 爲 心體 離 念
離念相者 等 虛空界無所不遍 法界一相 卽是如來平等法身
於此法身說 名 本覺 覺心初起 心無初相 遠離 微細念
了見心性 性常住名究竟覺
佛 是 西國梵語 此地往名爲 覺
所言覺義者 心體離念
離念 是 佛義 覺義 略釋佛義 具含三義 亦名 印心方便
불(佛)은 서쪽나라의 범어이다. 이 나라에서는 흔히 각(覺)이라 번역한다. 이른바 각(覺)이라는 것은 마음의 체성이 망념을 여의었다는 것이다. 망념의 상(相)을 여의었다는 것은 허공계와 똑같아서 두루하지 않은 바가 없고, 법계가 한 모습[一相]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곧 여래의 평등법신이다. 이 법신을 설하여 본각(本覺)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깨달음의 마음[覺心]이 처음 일어나지만 마음에 처음이라는 상(相)이 없다. 멀리 미세한 망념까지도 떠나 마음의 본성을 분명하게 본다. 이처럼 본성이 상주하는 것을 구경각(究竟覺)이라 이름한다. 불(佛)은 서쪽나라의 범어이다. 이 나라에서는 흔히 각(覺)이라 번역한다.
이른바 각(覺)이라는 것은 마음의 체성이 망념을 여의었다는 것이다. 망념을 여읜 것이 곧 불(佛)의 뜻이고, 각(覺)의 뜻이다. 간략하게 해석하면 불(佛)이라는 뜻이지만 자세하게는 여기에 세 가지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또한 인심방편(印心方便)이라고도 이름한다.
問 是沒是三義 自覺 覺他 覺滿
離心自覺 不緣五根
離色覺他 不緣五塵
心色俱離 覺行圓滿 卽是如來 平等法身
離念相者 等 虛空界無所不遍 3
문 그 세 가지 뜻이란 무엇입니까?
답 자각(慈覺)과 각타(覺他)와 각만(覺滿)이다. 심(心)을 떠난 ‘자각’은 다섯 가지 감각기관〔五根〕이 반연을 여읜 것이다. 그리고 색(色)을 떠난 ‘각타’는 다섯 가지 대상[五塵]이 반연을 여읜 것이다. 그리고 색(色)과 심(心)을 모두 떠난 각행원만(覺行圓滿)은 곧 여래의 평등법신이다. 망념의 상(相)을 떠났다는 것은 허공과 똑같아서 두루하지 않은 곳이 없다는 것이다.
현각/한국선학회장
글이 짤린 건가
원문 다시 찾아볼 것.
전문 참조 :
http://buddhism.lib.ntu.edu.tw/BDLM/sutra/chi_pdf/sutra24/T85n2834.pdf : 국립 대만대학 대학원 자료
《大乘無生方便門》CBETA 電子版
版本記錄: 1.1 完成日期: 2002/11/04 發行單位: 中華電子佛典協會 (CBETA) cbeta@ccbs.ntu.edu.tw 資料底本: 大正新脩大正藏經 Vol. 85, No. 2834 No. 2834
大乘無生方便門 第一總彰佛體。第二開智慧門。第三顯示不思議法。第四明諸法正性。第五自然 無礙解脫道 各各胡跪合掌當教令發四弘誓願 眾生無邊誓願度。煩惱無邊誓願斷。 法門無盡誓願學。無上佛道誓願證 次請十方諸佛為和尚等 次請三世諸佛菩薩等 次教受三歸 次問五能 一者汝從今日乃至菩提能捨一切惡知識不(能)二者親近善知 識不(能)三能坐持禁戒乃至命終不犯戒不(能)四能讀誦大乘經問甚深義不(能)五能見苦眾 生隨力能救護不(能) 次各稱已名懺悔罪言過去未來及現在身口意業十惡罪。我今至 心盡懺悔。願罪除滅永不起五逆罪障重罪(准前)譬如明珠沒濁水中以珠力故水即澄。清 佛性威德亦復如是。煩惱濁水皆得清淨。汝等懺悔竟三業清淨。如淨瑠璃內外明徹。 堪受淨戒菩薩戒。是持心戒。以佛性為戒。性心瞥起即違佛性。是破菩薩戒。護持心 不起即順佛性。是持菩薩戒(三說)次各令結跏趺坐 同佛子心湛然不動是沒 言淨 佛 子諸佛如來有入道大方便。一念淨心頓超佛地 和擊木一時念佛 和言。一切相總不 得取□以金剛經云。凡所有相皆是虛妄。看心若淨名淨心地。莫卷縮身心舒展身心。 放曠遠看平等盡虛空看 和問言。見何物 子云。一物不見 和。看淨細細看。即用 淨心眼無邊無涯除遠看 和言。問無障礙看 和問見何物 答。一物不見和向前遠看 。向後遠看。四維上下一時平等看。盡虛空看。長用淨心眼看。莫間斷亦不限多少看 。使得者然身心調用無障礙 和言。三六是何 子云 是佛身心得離念。不見心心如 心得解脫。不見身色如身解脫。如是長時無斷用(入言)虛空無一物。清淨無有相。常令 不間斷。從此永離障。眼根清淨。眼根離障。耳根清淨。耳離根障。如是乃至六根清 淨。六根離障。一切無礙是即解脫。不見六根相。清淨無有相。常不間斷。即是佛。 是沒是佛。佛心清淨離有離無。身心不起常守真心是沒是真如。心不起心真如。色不 起色真如。心真如故心解脫。色真如故色解脫。心色俱離即無一物。是大菩提樹 佛 是西國梵語。此地往翻名為覺。所言覺□為心體離念。離念相者。等虛空界無所不遍 。法界一相即是如來平等法身。於此法身說名本覺。覺心初起心無初相。遠離微細念 。了見心性。性常住名究竟覺。佛是西國梵語。此地往翻名為覺。所言覺義者心體離 念離念是佛義覺義。略釋佛義。具含三義亦名印心方便 問。是沒是三義。自覺覺他 覺滿離心。自覺不緣五根。離色覺他。不緣五塵。心色俱離覺行圓滿。即是如來平等 法身。離念相者。等虛空界無所不遍
+
동그라미 표시 뭐지. 마침표 인줄 알았는데 아닌데.
군데군데 내 마음대로 지움.
問。是沒是等虛空界無所不遍。是沒是遍不遍
答。虛空無心。離念無心。無心 則等 虛空無所不遍。
有念即不遍。離念即遍。法界一相 則是 如來平等法身
問。是沒是法界。意知 是法界 是十八界。
眼見 意知 念起 多想生 隔障不通。是染法界 是眾生界。
是沒是淨法界。眼見 意知 離念 即 無隔障。是淨法界 是佛界。
是沒是佛界。法界一相意知處。是法是法界。
眼見色。耳聞聲。鼻覺香。 舌知味。身覺觸。意知法。
意通知 上 五種法。
若心起同緣。即是染法界是眾生界。
若不起心同緣。即是淨法界是佛界。
法界一相。於十八界中有二。一染一淨。先染後淨 。
眼見色。意識同緣知。眼 等 五根 依 塵。
五處 起 染 即 一切處染
一切處染 即 是 染法界 是 眾生界
問。是沒是諍法界。淨法界者。於離念中眼見色不分別。即於眼處得解脫。 餘四亦同。五處解脫一切處解脫。一切處解脫即一切處淨。即是淨法界是佛界。離念 相者。等虛空界無所不遍。屬自法界一相屬他
問。是沒是如來義
答。離心心如。 離色色如。心色俱如。即是覺滿。覺滿即是如來。又意根不起心如。五根不起色如。 心色如如不隨境起。即是如來平等法身。於此法身說名本覺。覺心初起心無初相。遠 離微細念了見心性。性常住名究竟。是法身
問。是沒是報身佛。知六根本不動覺性 頓圓光明遍照。是報身佛。是沒是法身佛。為因中修戒定慧。破得身中無明重疊厚障 。成就智慧大光明。是法身佛。是沒是化身佛。猶心離念境塵清淨。知見無礙。圓應 十方。是化身佛。體用分明。離念名體。見聞覺知是用。寂而常用。用而常寂。即用 即寂。離相名寂。寂照照寂。寂照者。因性起相。照寂者。攝相歸性。舒則彌淪法界 。卷則總在於毛端。吐納分明神用自在(徵)身心既空 誰吐誰納。身心空無吐納。即 與無為合。啟無為達實相。身心空善迴向。迴向菩提證真常樂。常對境界心無所著。 身心兩法染淨。依有念無量恒沙煩惱。依離念無量恒沙功德。依恒沙功德是淨。依是 沒是法身體。是沒是依身心。離念是法身。由離念故轉無量恒沙生滅。成無量恒沙功 德。恒沙功德依離念住是依。是沒是聚義。無間修行任持功德不散是聚。聚諸功德充 滿法身。猶離念故萬境皆真(已上第一了)
第二 和尚打木問言。聞聲不 聞不動此不 動。是從定發慧方便。是開慧門。聞是慧。此方便非但能發慧。亦能正定。是開智門 。即得智。是名開智慧門。若不得此方便。正即落邪定。貪著禪味墮二乘。涅槃已得 此方便正定。即得圓寂是大涅槃。智用是知慧用。是名是名開佛知見。知見即是菩提 問是沒是不動 答心不動心不動是定是智是理。耳根不動是色是事是慧。此不動是 從定發慧方便。開慧門
問。是沒是慧門。耳根是慧門。作沒生開慧門。聞聲耳根不 動。是開慧門。是沒是慧聞是慧。五根總是慧門。非但能發慧亦能正定。是開智門
問。是沒是智門。意根為智門。作沒生開智門。意根不動是開智門。作沒生轉意成智 即得智。是名開智慧門。與汝開智慧門竟。有力度眾生。身體及手足寂然安不動。八風吹不動
問。是沒是八風。八風者 利衰毀譽稱譏苦樂
答。四箇是違。四箇是順
問。於此違順作沒生
答。心不動。不動是佛。須彌山逈超生死海。逍遙出三界。如 其所得法定慧力莊嚴。以此度眾生。自證無上道
問。有幾種人開得智慧門
答。有 三種人。是誰凡夫二乘菩薩。
凡夫有聲 即 聞無聲。聲落謝 不聞。
二乘有聲 無聲。聲落謝 不聞不聞。
菩薩有聲 無聲。聲落謝 常聞
問。三人一種開得智慧一門。緣何沒。
二乘人貪著禪味墮二乘涅槃。
二乘人開得慧一門。是慧於耳根邊證得聞慧。昔所不聞 而今得聞。聞已心生歡喜。歡喜即動。畏動執不動。滅六識證空寂。
涅槃有聲無聲。聲落謝不聞。不聞貪著禪味。墮二乘涅槃。
菩薩開得慧門。聞是慧於耳根邊證得聞慧 。
知 六根 本來不動 有聲 無聲。聲落謝。常聞 常順不動修行。以得此方便正定即得圓寂 是大涅槃。
涅槃經云。不聞聞 不聞不聞 聞聞
듣지 않되 들음 : 어제는 들리지 않던 바가 오늘은 들리는 것
"진신 으로부터 응화를 일으키는 것"?
듣되 듣지 않음 :
"응화를 거두어 진신으로 돌아감"
들을 것을 들음 :
"응화일 뿐"
들을 것이 없어 듣지 않음? 듣지 않으려 듣지 않음
"법신이 고요한 것"
cf. 정 에 들어 오관이 끊어진 상태 : 다할 때까지 굳이 깰 수 없슴
사선정 중 어디? 가보지도 못했는데 따져 무엇하나?
skb.or.kr/2004/paper/sec03.hwp : p.476 참조
止觀輔行傳弘決 卷第九之三 , 神通의 해석 , 妙樂大師
昔所不聞而今得聞 (天耳)
問。是沒是不聞聞。昔所不聞而今得聞 。是不聞聞
是沒是不聞。不聞聞已心生歡喜。歡喜即動。畏動執不動。
滅六識證空寂。涅槃有聲無聲。聲落謝 不聞 不聞 是 不聞不聞。
是沒是聞。已心生歡喜。歡喜即動 。畏動執不動。
滅六識證空寂涅槃有聲無聲。聲落謝不聞不聞是不聞不聞。
是沒是聞不聞。二乘人 出定即聞 在定不聞。二乘人 在定無慧。不能說法亦不能度眾生。出定 心散。說法無定。水潤名乾慧。定是聞不聞。
是沒是聞聞 凡夫亦有聞聞 菩薩亦有聞聞
凡夫聞聞 即 動動同塵
菩薩聞聞 不動 不同塵。
和光不同塵 4
娑婆世界釋迦如來以音聲 為佛事。耳根為慧門。
光明世界燈明如來以光明 為佛事。眼根為慧門。
香積世界香積如來以眾香 為佛事。鼻根為慧門。
甘露世界甘露如來以甘露味 為佛事。舌根為慧門。
眾花世界花光如來以眾花 為佛事 身根為慧門。
妙慧世界法明如來以知一切法不動 為佛事。意根為慧門。
此方便非但 能發慧 亦 能正定
問。是沒是邪定正定。二乘人滅六 識證空寂涅槃。是邪定 菩薩知六根本來不動有聲無聲。聲落謝常聞。是正定 問。 誰能開得智慧門。善知識能開。因聞善知識語。悟得六根本來不動有聲無聲聲落謝。 常聞常順不動修行。是名外善知識能開智慧門
問。是沒是內善知識
答。智慧是知 是智識是慧轉意成智是開智門。即得智是名內善知識。能開智慧門。是沒是邪定正定 。二乘人有定無慧名邪。菩薩有定有慧名正 問。是沒是大小涅槃。西國梵語。此地 往翻名圓寂。是沒是圓寂智慧俱寂(是大涅槃)菩提是西國梵語。此地往翻名為知。知見 見是智慧寂用。菩提是涅槃寂用。知見是用。智慧是體。菩提是用。涅槃是體(體用分 明)經云。菩提不可以心身得寂滅。是菩提滅諸相故
問。是沒是身心不得
答。心不動離念不起。菩提不可以心得。色不動離念不起菩提不可身得。身心俱不動即寂滅。是菩提滅諸相故。又身心俱離念。即是圓滿菩提
問。不會是菩提。諸入不會故。是 身心不可得。
答。六根不動諸入不會。即是圓滿菩提。又根塵不染。則一切處不會 又問。障是菩提。障諸願故
答。六根不動諸願不生。即是圓滿菩提
問。入得澡灌 否
答。正用心時不見有入不見有出。見入亦是動。有亦是動。見不入亦是動。無入 無不入是不動
問。是沒是無聞為根本。見聞覺知為後得
問。緣沒喚無聞為根本 由先證離身心相為根本。知見自在不染六塵見聞覺知為後得。以先證為根本。若不以 證為先所有。知見則隨染
問。今日見聞覺知熾然。於六塵中得自在。緣阿沒由先證 離身心。身相為根本。知見自在即不染六塵。明知知見自在於證後得為諸後得智。根 本後得處處分明處處解脫處處修行。眼見色心不起是根本智。
見自在是後得智。耳聞 聲心不起是根本智。
聞自在是後得智。鼻覺香心不起是根本智。
覺自在是後得智。舌 覺味心不起是根本智。
覺自在是後得智。自覺身心不起是根本智。
覺自在是後得智。意知法心不起是根本智。
知自在是後得智。根根不起塵淨。根根不起塵耶
問。維摩 經云。無方便慧縛二乘人。在定不聞出定即聞。在定無慧不能說法亦不能度眾生。出 定心散說法無定水潤名乾慧定。是名無方便慧縛。是沒是有方便慧解。菩薩知六根本 來不動。有聲無聲聲落謝。常聞常順不動修行。以得此方便正定即得圓寂。是大涅槃 是名有方便慧解。無慧方便縛。有慧方便解
問。是沒是方便。不動是方便。何物不 動心不動
答。得心住不動亦是動。遺教經云。一切世間動不動法皆成敗壞不安之相 。歡喜即動。於畏動報不動。滅六識證空寂涅槃。有聲無聲。聲落謝不聞。貪著禪味 。墮二乘涅槃。是名無慧方便縛。是沒是有慧方便解。菩薩不貪涅槃。了見聞覺知心 動。是名有慧方便解。何謂無方便慧縛。菩薩不以愛見心莊嚴佛土成就眾生。於空無 相無作法中而自調伏。是名無方便慧縛。何謂有方便慧解。菩薩不以愛見心莊嚴佛土 。於空無相無作法中而自調伏。是名有方便慧解。無慧方便縛。愛愛涅槃見見諸佛土 。證得六根為佛土。不動為莊嚴。證得六根不動。了貪瞋癡性空。見取空為證厭生死 住涅槃。是名無慧方便縛。有慧方便解。菩薩已愛見心愛愛涅槃見。清淨六根為佛土 。不動為莊嚴。證得六根不動了貪瞋癡性空。見空不取空為證。不厭生死不住涅槃。 是名有慧方便解。無方便慧縛。謂菩薩住諸貪欲瞋恚邪見等諸煩惱。而植種得本。證 得六根不動。了貪嗔癡性空。見空取空為證。厭生死住涅槃。是菩薩貪欲嗔恚邪見等 諸煩惱而殖眾德本。有聲無聲聲落謝不聞。不聞是名無方便慧縛。有方便慧解。謂菩 薩離諸貪欲瞋恚邪見等諸煩惱而殖眾得本。證得六根不動。了貪瞋癡性空。見空不取 空為證。不厭生死不住涅槃。是菩薩即離諸貪欲瞋恚邪見等諸煩惱。而殖眾德本。迴 向阿耨多羅三藐三菩提。有聲無聲聲落謝常聞。是名有方便惠解。又復觀身。身不離 病。是病是身。非新非故。因在過去四大非新。現在五蔭非故。身心不起。斷無漏因 。當得涅槃具足果。非因果法。是諸佛之本原處世界是沒處心是處。五陰為世界。心 處於世界。如虛空虛空是心。心如是智。如蓮華。蓮華是色。色如是惠。智慧清淨超 彼五根。是超於彼稽是敬禮是順。常順智惠修行是無上尊 妙法蓮華經 是沒是妙法 心。是妙法蓮華是色心。如是智色如是惠是智慧經 大方廣佛華嚴經 大方廣是心。 華嚴是色。心如是智。色如是惠。是智慧經 金剛經 金是心。剛是色。心如是智。 色如是惠。是智惠經 妙法蓮華 是沒是妙法。定惠是妙法。蓮華是喻。猶有定惠。 於世間不染世間。明知定惠即是妙法。蓮華雜處於水。不被水之所染。見聞覺知自在 用不被六塵所染。如蓮華開敷香結人天之所愛敬。所以舉之為喻。未得定惠者令得定 惠。開方便門示真實相。六根不動等開方便門。定惠是真實相。由有定惠藏諸功德法 相圓滿藏無漏法等是法華經藏凡夫二乘所不能到。天魔外道不能壞。深故幽遠。無人 能到。凡夫二乘所不能到名深。天魔外道不能壞名故。謂諸菩薩說大乘經名無量義。 教菩薩法佛所護念
問。是沒是大乘經。智慧是大乘經。亦名法華經。是沒是無量義 。順一實相性義。教菩薩法。教菩薩定惠法。佛所護念護本來離念佛。說此經已結跏 趺。表身心不動。身不動色如是惠。心不動心如是智。三是正昧。是心正心。修行順 一實相性義。是名入於無量義處三昧。表身心不動。爾時世尊從三昧安詳而起。告舍 利弗。諸佛智慧甚深無量
問。是沒是智甚深。如來智海無底名甚深。惠能超六塵外 故稱無量。其智慧門難解難入。一切聲聞辟支佛所不能知。二乘人心有生滅難解。聲 聞人心有思執動遙難入。菩薩無執無動遙易解易入
問。五位聲聞不能測佛智。盡思 共度量亦復不能知
問。緣阿沒不知
答。有思求心不能知。作沒生即得知。無思求 心即得知
問。將思求何用
答。將思意中轉思成智。又告舍利弗。無漏不思議甚深 微妙法。我今已具得。唯我知是相。十方佛亦然。止止不須說。我法妙難思。諸增上 慢者聞必不敬信。是增上慢 無所得法。是上法增加有所得心。慢他上法是增上慢
問。是沒是慢
答。乖理越慢。乖是沒。理乖無所得證理。上法無得。二乘人增得。 上法無證。二乘人增證。增得增證即是乖理。上法無得無證無得無證。即離增上慢。 檀波羅蜜是梵語。此地往翻名布施。自身布施見他不布施。是則慢他上法。不見有布 施。不見有不布施。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檀上得離增上慢。是名上品波羅蜜。 尸波羅蜜是梵語。此地往翻名戒。自身持戒見他破戒。是則慢他上法。不見有持戒。 不見有破戒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戒上得離增上慢。是名上品波羅蜜。羼提波羅蜜 是梵語。此地往翻名忍辱。自身忍辱見他瞋恚則生慢他上法。不見有忍辱。不見有瞋 恚。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忍上得離增上慢。是名忍辱波羅蜜。毘梨耶波羅蜜是 梵語。此地往翻名精進。自身精進見他懈怠。是則慢他上法。不見有精進。不見有懈 怠。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進上得離增上慢。是名上品波羅蜜。禪波羅蜜是梵語 。此地往翻名禪定自身禪定見他散亂。是則慢他上法。不見有禪定。不見有散亂。二 相平等。慢則不生。從此禪定上得離增上慢。是名上品波羅蜜。波若波羅蜜是梵語。 此地往翻名智慧。見自身有智慧見他愚癡無智慧。是則慢他上法。不見有智慧。不見 有愚癡。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惠上得離增上慢。是名上品波若波羅蜜。見自身端 政。見他醜漏。是則慢他上法。不見有端政。不見有醜漏。二相平等。慢則不生。從 此色上得離增上慢是佛色。見自身有勢力。見他無勢力。是則慢他上法。不見有勢力 。不見無勢力。二相平等。慢則不生。從此力上得離增上慢。是佛力。諸佛世尊為一 大事因緣出現於世。
是沒是因。是沒是緣
答。知為因見為緣則此因緣為一大事緣。 阿沒知為因緣。阿沒見為緣因。心知緣眼見。因心知知是沒。緣眼見見是沒。知知則 知知則知心不起見則見色本空
問。是沒是出現於世。五陰為世。了空即出現於世。 如來王宮生雙樹滅。即是出現於世。是出現諸佛世尊來為眾生開佛知見
問。聞聲否
答。聞聞作沒。生聞聲不動。不動是開。開是門示合下為悟。無間修行是入開示。 屬佛悟入屬修行人。阿沒處開。阿沒處示。無明五陰中開。無明五陰中示。耳根是色 。受想行識是心耳根。是五陰聞聲不動。開得五陰空。開得佛知見。學人耳根聆聆屬 聽。有聲音指領悟分明。證入修行取無為道。不動是開佛知見 學人耳根聆聆囑聽是 等佛知見。有聞音指領悟分明。是悟佛知見。證入修行取無為道。是入佛知見。佛說 般若波羅蜜即非般若波羅蜜。是名般若波羅蜜。般若波羅蜜是三世諸佛國說。以不動 故即非世人執地。般若波羅蜜是名無地般若波羅蜜。不執相是智。無相是惠。佛說微 塵眾即非微塵眾是名微塵眾。是三世諸佛國以不動故。即非世人執微塵眾。是名無相 微塵眾。不執相是智。無相是惠。佛說。燈即非燈。是名燈。以不動故。即非世人執 相燈。是名無相燈。不執相是智。無相是惠(第二了)
維摩詰言。唯舍利弗聞諸佛菩薩有解脫名不可思議
問。是沒是不思不議
答。 心不思口不議心。不思心如心離繫縛。心得解脫。口不議色。如色離繫縛。色得解脫 。心色俱離繫縛。是名不可思議解脫。若菩薩住是解脫者。已須彌之高廣納於芥子中 。無所增減。須彌山王本相如故
問。是沒是須彌納芥子中無所增減
答。須彌是色 。芥子亦是色。心不思心。如須彌芥子俱是色如。同一如相無所增減。須彌山王本相 如故。唯應度者乃見。須彌入芥子中無所增減須彌山王本相如故(作沒生)答。須彌不減 芥子不相如。所無增減。是名須彌山王本相如故。如四天王刀利諸天不覺不知已之所 入。於此眾生亦無所嬈
問。四天王依是沒住
答。依須彌山住 緣阿沒不覺不知
答。緣有思議不覺不知。作沒生則得知。無思則得知。是沒是唯應度者。已不思議度 過思議作沒生。乃見須彌入芥子。心不思則不見須彌芥子大小相。亦不見有入不見有 不入。作如是見。乃名真見。無思則無相。無相則無入無不入。此為驚怖聲聞除其心 量。聲聞未悟。則見有須彌芥子大小相。聲聞已悟了。見須彌芥子本性空。則何入何 不入。是名乃見須彌入芥子中。是名不思議解脫法門
問。是沒是住不可思議解脫法 門。起心思議是縛不得解脫。不起心思議則離繫縛即得解脫。心不思心如是智。口不 議色如是惠。是名不思議智慧解脫法門。又以四大海水入於毛孔。不嬈魚鼈黿陀水性 之屬。而彼大海本相如故。諸龍鬼神阿修羅等不覺不知已之所入。於此眾生亦無所嬈 。作沒生四大海水入一毛孔不嬈
答。大海是色。毛孔亦是色。心不思心。如海水毛 孔俱是色如。同一如相即不嬈魚鼈黿陀水性之屬。而彼大海本相如故。是沒是本相如 故 答。海水不減毛孔不增。如所無增減。是名本相如故。諸龍鬼神等作沒生住
答 。依海住。緣阿沒不覺不知。
答。緣有思議則不覺不知。作沒生即得知無思即得知。 於此眾生亦無所嬈。同一如相眾生如海水毛孔。亦自如於此眾生亦無所嬈。又舍利弗 住不可思議解脫。菩薩斷取三千大千世界貪是大千。瞋是中千。癡是小千。此來為有 思議。即有貪瞋癡結集生死輪迴六道。如陶家輪著右掌中。擲過恒河沙世界。
是沒是 右
答。右為用也。用不思議斷貪瞋癡轉入如。擲過恒河沙世界之外。恒河沙是煩惱 。超過煩惱即是擲過恒河沙世界之外。其中眾生不覺不如已之所往。緣阿沒不覺不知 。緣有思議不覺不知。又復還本處。是沒是本處 答。不思議是本處。都不使人有往 來相。
是沒是往來相 答。起心思議即有往來相。不起心思議即無往來相。而此世界 本相如故。
是沒是本相如故。答。六根本來如是名本相如故。又舍利弗。或有眾生樂 久住世而不度者。菩薩即演七日以為一劫令彼眾生為之一劫。或有眾生不樂久住而可 度者。菩薩即從一劫以為七日令彼眾生為之七日。凡夫樂久住世欲得長。即演七日以 為一劫。二乘人不樂久住欲得短促。一劫以為七日。起心思即有演長短。不起心即無 演長短。又二乘凡夫為有思即有演長短。菩薩無思即無演長短□□□□□□思益經。梵天 菩薩問望明言。云何是諸法正性。望明言□□□□□□□法正性。是沒是自性。四大五蘊各 有自性。自性從阿沒處□□□□□□□□□是真性 心理湛然清淨是真性色緣眼識是 □□□□□□□□□□
問。是沒是離自性。離欲際通將來
答。耳□□□□□□□□□□□□□□根塵不 起是離欲際達摩和上解□□□□□□□□□□□□□□□諸法正性。如水大流盡波浪
http://taegak.or.kr/re/sasang21/5.pdf
http://sejon.or.kr/zen/d_zen/zen_cul/zen_cul_016.shtml
http://sejon.or.kr/whaum/b_whaum/b_data/sungbon_b10.shtml
선종은 신수에 이르러서 방편을 더욱 넓혀갔다. <대승오방편(大乘五方便)> 혹은 <북종오방편문>, <대승무생방편문>에 보면 오종방편이 전해지며 다수의 경전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오종방편문이란
① 총창불체문(總彰佛體門) 리염문(離念門)으로 본성은 번뇌를 여윈 상태라는 ‘기신론’과,
② 개지능문(開智能門) 부동문(不動門)은 <법화경>에서 부처님이 지견을 열어보인 개시오입(開示悟入)설,
③ 현불사의해탈문(顯不思議解脫門)으로 무사무상(無思無想)이 해탈이 된다는
<유마경>,
④ 명제법정성문(明諸法正性門)은 마음은 자성을 여의고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정성(正性)이 된다는 <사익경>,
⑤ 견불이문(見不異門)은 제법이 다르지 않음을 알면 자연히 걸림 없는 해탈을 한다는 <화엄경> 설 등을 의지했다.
한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 네이버 - 불경명 간략 해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8505&cid=42952&categoryId=42952
http://cafe.daum.net/mybulove/DNGQ/3533?q=%BA%D2%C1%F6%B0%E6%B7%D0&re=1
http://moyangsung.blog.me/107592417
無所不爲
史記, 呂不韋列傳, 사마천,
진시황이 황제가 되자 여불위가 '무소불위(못하는 것이 없는)의 권력의 가지게 되었다'는 표현에서 유래
無所不二 : 와전 추정 - 둘이 아닌 바가 없다 ?
無所不遍 두루 있지 않은 곳이 없는
이 방편문이 쓰여진 시기?
神秀(신수)
(?~706) 중국 당나라 스님. 북종선(北宗禪)의 개조(開祖). 속성은 이씨. 개봉 사람. 50세에 기주쌍봉(蘄州雙峰) 동산사에 5조 홍인선사(弘忍禪師)를 뵙고 제자가 됨. 홍인이 죽은 뒤에 강릉 당양산에 있으면서 측천무후의 귀의를 받고, 궁중의 내도량(內道場)에 가서 우대를 받았으며, 또 중종황제의 존경을 받음. 신룡 2년에 죽음. 시호는 대통선사(大通禪師). 동문(同門)의 혜능(慧能)이 5조의 법사(法嗣)가 되어 스승의 명으로 남방에 가서 도법을 널리 편 이래로 혜능이 전한 것을 남종(南宗)이라 하고, 신수가 전한 것을 북종(北宗)이라 함. ⇒대통(大通)
http://cafe.naver.com/bulhakwon/1359
- http://editor.daum.net/releases/7.4.29-2/pages/trex/승려의%20계율%20중%20가장%20엄격하게%20금하는%20중죄.%20사중죄(四重罪).%20살도음망(殺盜淫妄)%20살%20생,%20투도,%20사음,%20망어%20///1.사음(邪婬):%20음행2.투도(偸盜):%20도둑질3.살생(殺生):%20사람이나%20동물%20등%20살아%20있는%20것을%20죽임4.망어(妄語):%20거짓말,%20특히%20큰%20거짓말,%20예를%20들어,%20대접을%20받기%20위해%20자기를%20높이는%20거짓말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9D%BC%EC%9D%B4%EC%A3%84 [본문으로]
- http://editor.daum.net/releases/7.4.29-2/pages/trex/마음을%20간(看)하여%20만약%20깨끗하다면,%20정심지(淨心地)라고%20하니,%20신심(身心)을%20지나치게%20웅크리거나%20펴지%20말%20것이며,%20평등하게%20허공이%20다하도록대범하게%20간하라.22)앞을%20향하여%20멀리%20간(看)하고,%20뒤를%20향해%20멀리%20간하라.%20사유(四維;%20四方)와%20상하(上下)를%20일시에%20평등하게%20간하고,%20허공이%20다하도록%20간하며,%20정심안(淨心眼)을%20사용하여%20오래도록%20간하라.%20끊어짐%20혹은%20길고%20짧게%20정하지%20말고%20간하고,%20신심이%20조용(調用)하여%20장애가%20없도록%20하라.%20(대각사상%2021집,%20철우%20글%20참조) [본문으로]
- http://editor.daum.net/releases/7.4.29-2/pages/trex/마음과%20물질%20모두를%20떠나%20깨달음과%20행동이%20서로%20통하여%20원만히%20이루어짐은%20곧%20여래,%20평등법신. [본문으로]
- 和光同塵(화광동진) 불ㆍ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방법 수단으로 찬란하게 눈부신 무루지(無漏智)의 광명을 잠깐 숨기고, 세속의 번뇌 오탁의 티끌에 섞여서 중생들에게 인연을 맺게 하고, 마침내 불법으로 끌어들이는 것. [본문으로]
'***** ? 과 ! > 수미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 중에 장애가 있을 때 (0) | 2015.09.11 |
---|---|
光境俱忘 復是何物 (0) | 2015.09.09 |
無量壽經宗要 (0) | 2015.08.28 |
乘 : 탈것으로 삼는다 vs. 올라타서 구가함을 느끼지 못하다 : 다른 극단으로서. (0) | 2015.08.27 |
스크랩 - 석가모니 부처님과 초기불교사상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