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 불경명 색인 - 가나다 순 : 동국역경원 참조
http://www.tripitaka.or.kr/kyungjun/1sort.htm
다음 질문 : 아함 의 뜻 , 한역 4 아함 의 구성 : 니까야 ? :
부처님 생전의 이야기 보따리 들이 북쪽으로 전해지면서 아함 이라 불리우고
남쪽으로 전해지면서는 부: 니까야 라고 불린 연원. 둘의 구분이나 구성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보아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전해진 지역색 등과 어울려 첨삭, 윤색되었을 가능성.
초기 경전의 부처님 원음 자체를 연구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기고 전파. 위빠사나, 사띠.
ㅁ 팔리 5부
니까야 : 部 = 떼, 모음 : 부처님 생전의 말씀, 일화들을 部로 모음
디가 니까야 : 長部 - 장아함 과 비슷
맛지마 니까야 : 中部 - 중아함 과 비슷
상윳따 니까야 : 相應部 - 잡아함
앙굿따라 니까야 : 增支部 - 증일 아함
쿳따까 니까야 : 소부 : 한역에는 없슴.
참조 :
http://cafe.daum.net/cigong2500/HT2N/1 : 수미산 카페 / 4아함 카테고리 참조
ㅁ 漢譯 4 아함
한글 장아함
장아함경 해제 : 백련사
http://www.baekryunsa.org/bbs2/board.php?bo_table=brs_bul02&wr_id=608&page=18
원문참조 : pdf 화일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 *한글 : 한역본 번역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skim03&logNo=90138108511
중아함
목야의 뜰 : 중아함에 대하여
http://blog.naver.com/buddhafind/220334254540
아함부 경전 카테고리 중 : 이 글 다음 중아함 시작~
마하불 블로그 카테고리 중 중아함 부분 : 한자 원문 참조
http://blog.daum.net/xmahabulx/10185202
한글 잡아함
http://blog.daum.net/bys335/15309814
http://blog.naver.com/buddhafind/220344721359 : 목야의 뜰 : 아함부 경전 모음 카테고리 중 잡아함 시작
천상계? : 잡아함 7 : 바라문과 가섭(동녀) 의 대화 중
http://sejon.or.kr/bubwha/e_data/data_e_bub_0200/0196-07.shtml
증일아함
http://blog.naver.com/buddhafind/220352556934 : 목야의 뜰 : 아함부 경전 카테고리 중 증일아함 시작
기타 수타니파타 외 아함부 경전 참조할 것
알아보기
빨리어 경전 - <디가 니까야> : 長部
다음 뉴스 : 초기 불경 '4부 니까야' 첫 완역 출간한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10421172133864
http://blog.daum.net/dksehrkr/15705450 : 책 관련 +
http://blog.daum.net/mrpond/7478988 : 장아함 영어 원문 링크 참조
http://blog.daum.net/gikoship/15781927 : 실론섬 참조
http://blog.daum.net/ymr204/4232696 : 각묵스님 디가니까야 해제
http://cafe.daum.net/daman1203/Sjl0/736 : 석가모니 부처님과 초기불교사상 [전문]
① 니까야란 무엇인가?
‘니까야(nikāya)’는 남방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 불교에 전승되어 오는 경장(經藏, Sutta-pitaka)을 말하며 5부 니까야로 구성되어 있다. 니까야(nikāya)는 ni(아래로) + √ci(to gather)에서 파생된 명사로 ‘모음’이란 뜻을 가지며 그래서 서양에서는 collection으로 옮기고 일본에서는 부(部)로 옮겼다.
5부 니까야 가운데『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長部, 긴 모음, 길게 설하신 경),『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中部, 중간 길이로 설하신 경),『상윳따 니까야』(Saṁyutta Nikāya, 相應部, 주제별로 모은 경),『앙굿따라 니까야』(Aṅguttara Nikāya, 增支部, 숫자별로 모은 경)은 모두 부처님과 직계제자들의 가르침이 부처님이 직접 사용하신 언어로 알려진 빠알리(Pāli)어로 전승되어온 가르침이다. 그러므로 초기불교의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여기에다『쿳다까 니까야』(Khuddaka Nikāya, 小部)의 7가지 경들, 즉『숫따니빠따』(經集, Suttanipāta),『법구경』(法句經, Dhammapāda),『자설경』(自說經, Udāna),『여시어경』(如是語經, Itivuttaka),『장로게』(長老偈, Theragāthā),『장로니게』(長老尼偈, Therīgāthā),『본생담』(本生譚, Jātaka)은 당연히 부처님과 직계제자들의 가르침인 초기불교의 영역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말씀을 모은 것(經集)’으로 직역되는『숫따니빠따』는 부처님과 직계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은 가장 권위 있는 경이다.
. . .
③ 아함이란 무엇인가?
‘아함(阿含, Āgama)’은 북방불교에 전승되어오는 초기불교의 가르침이다. 아함(阿含)은 아가마(āgama)의 음역이다. 아가마(āgama)는 ā + √gam(to go)에서 파생된 명사이며 ‘이 쪽으로 전해 온 것’이라는 문자적인 뜻에서 ‘전승된 가르침’을 뜻한다. 아함은『장아함』(長阿含),『중아함』(中阿含),『잡아함』(雜阿含),『증일아함』(增一阿含)의 4아함이 전승되어 온다. 이들은 각각 남방불교의『디가 니까야』(長部),『맛지마 니까야』(中部),『상윳따 니까야』(相應部),『앙굿따라 니까야』(增支部)에 상응한다.
이들은 한문 번역본인 아함(阿含)만 남아있다. 한문 번역본의 저본이 되었을 범본 아가마(Āgama)는 극히 일부 단편만 발견되었을 뿐 지금은 소실되어 버렸다. 그리고 이들은 한문으로 축약되어 번역되었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초기불교의 일차자료가 되기에는 불충분하다 할 수 있다. 물론 니까야와 비교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편『청정도론』과 여러 주석서와 복주서 문헌들에서는 니까야와 아가마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4부 니까야를 4가지 아가마(catu Āgama)로 부르고 있으며(DA.i.2 등)『디가 니까야』를 ‘디가 아가마’로(DA.i.2)『맛지마 니까야』를 ‘맛지마 아가마’로(MA.i.1)『상윳따 니까야』를 ‘상윳따 아가마’로(SAṬ.i.6)『앙굿따라 니까야』를 ‘앙굿따라 아가마’로(AA.i.3) 부르기도 한다.
초기불교 – 아비담마(아비달마) – 반야․중관 – 유식 – 여래장 – 정토 – 밀교 – 선불교로 전개되어온 불교 2600년 역사에서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에 공히 같은 형태로 남아있는 불교체계는 초기불교 뿐이다. 그리고 남방․북방으로 다른 경로로 전승되어 전혀 다른 언어와 문자로 지금까지 전승되어온 니까야와 아함이 서로 같은 가르침을 담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 하겠다.
http://cafe.daum.net/daman1203 : 해인의 뜨락 - 카테고리 4아함 참조
http://blog.daum.net/bolee591/16155414 : 우리말 디가니까야 에 대한 글
_+
'***** ? 과 ! > 수미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首楞嚴經 : (0) | 2015.08.13 |
---|---|
중아함 98경 제2 소토성송 인품 제2 염처경 (0) | 2015.08.10 |
阿彌陀經 (0) | 2015.07.31 |
多聞 : 하심의 증거로서, 구족되어진 마음의 상태, 자세 (0) | 2015.07.29 |
각수교몽 (0) | 2015.07.28 |